Packet은 Header, Payload로 크게 나누며 Header는 메타데이터, Payload는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가 담겨있다.
HEADER: 포함된 필드(구성 요소)들은 패킷을 어디로,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값을 저장함
Payload: 송신 장치에서 수신 장치로 전달될 실제 데이터
버전: IPv4 혹은 IPv6
TTL(Time To Live):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남아 있을 수 있는 시간. 패킷을 처리하는 각 라우터가 이를 하나 이상 감소시킴
프로토콜: IP 패킷의 데이터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UDP(user Datagram Protocol)로 구분됨
헤더 체크섬: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16비트 혹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기능은 패리티 비트처럼 데이터에 어떤 변질이 있었는지 다중 오류 확인함
소스 주소: 패킷을 데이터로 보내는 장치의 IP 주소이자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전송 실패 또는 제어 메시지와 같은 네트워크 수준 오류 메시지를 전파하는 경로
대상 주소: 패킷을 받을 장치의 IP 주소
데이터: 데이터 부분의 전송계층. TCP 혹은 UDP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