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각 자리는 8bit 씩 총 32bit로 이루어짐 각 자리를 옥텟(Octet)이라고 부름 할당 가능한 ip의 범위는
0.0.0.0 to 255.255.255.255
이며 이는 총 $2^{32}$ 개, 대략 43억 개의 주소가 존재함
#window
ipconfig
#linux
ifconfig
ip addr # 권장
이는 네트워크 관리자(라우터)에 의해 할당된 사설 ip망일 확률이 높다.
공인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인터넷에 ‘MyIpAddress’ 나 네이버에서 ‘내 아이피 주소’를 검색해 확인하자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
사설 IP 주소 대역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1918 문서에 의해 지정되었으며, 이 대역은 IANA(Internet Assigned Number Authority) 에서 관리
대역을 구분하는 Class는 현재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으로 대체되었으나, 굳이 표현하자면
10.0.0.0 to 10.255.255.255 (A 클래스 대역) 172.16.0.0 to 172.31.255.255 (B 클래스 일부 대역) 192.168.0.0 to 192.168.255.255 (C 클래스 일부 대역)
사설 IP는 라우터 내부(자신의 공유기 내부)에서만 통용되며, 인터넷(공인 IP망)으로 직접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NAT 과정이 필수적
Network Address Translation 1개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나누는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알고리즘이다.
이는 IP 고갈 문제(IP를 사용하는 기기가 너무 많아지자 이를 구분하기 위한 IP 주소 개수가 모자르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